Google Marketing tools/경영학원론

2. 경영학의 의미와 본질

건강시니 2022. 4. 8. 22:54
반응형

 

1. 경영학의 정의

- 경영체(조직)의 경영활동은 합리(효율/효과)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법칙을 연구하는 활동

- 경영 목표의 합리적인 달성을 위해 경여여활동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활동을 어떻게 관리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협동원리, 지식체계를 정리한 학문

- 사람들과 어울려 여러 자원을 활용해, 지정된 목표 달성과 성공경영을 이끌어내기 위한 학문

- 경영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과 관리방법을 제공해주는 학문

 

2. 경영학의 학문적 특성

- 이론 : 경험적 사실을 분석하여 새로운 원리나 법칙을 끌어내는 학문

- 실천 : 실제 기업 경영에 도움을 주는 학문

- 응용 : 이론을 현장에 적용 또는 현장에서 이론을 도출

- 과학 : 합리적 이성에 기반을 두며 객관적 사실과 증명을 토대

- 기술 : 기술, 비전 및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구체적인 결과를 달성해나가는 노하우 기법

- 경영학은 문제해결을 지향하는 학문

 

3. 경제 행위의 기본 주체

- 경영학의 연구 대상은 전체 경제를 구성하는 모든 개별 경제 주체

- 주요 연구 대상은 조직 (영리 조직 (기업)과 비영리 조직)

- 어떤 측면을 파악하는지에 따른 인식 대상이 경영학 연구 대상에 해당

- 주된 인식 대상은 경제적 측면

- 기업 경영의 4대 측면(생산 / 판매 / 인사 / 재무)

 

4. 경영학의 연구체계

- 사바리 / 상업경영체계

- 헨리 페이욜 (산업 및 일반 관리)의 일반 경영 체계

- 독일 (이론) 경영경제학 (구조 / 주체 / 객체 / 과정 / 구체화)

- 미국 (실천) 경영관리학 (계획 / 조직 / 지휘, 통제)

 

※ 경영 단계의 유기적 순환

※ 경영학의 연구 단계

 

5. 경영학의 교육 목적

- 미래의 혁신적 / 열정적 / 프로 경영자 양성

- 혁신은 불연속적으로 새로운 기술, 설비, 방법을 도입하여 매출을 증대하는 전략

- 개선은 연속적으로 품질향상, 원가 인하 등을 통해 고객을 만족시키는 전략

- 무엇이 변화하고 있는가? 변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?

- 경영이론을 제시해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 방법을 제시

 

※ 변화에 따른 혁신과 개선

- SCM 전략 : 비용을 최소화하고 고객의 만족을 증대시킴

- 생산계획에 맞춰서 원/부자재를 일일계획으로 맞춰 원가, 재고율을 낮춰 생산비 절감을 통해 이익률 향상

 

※ 기업의 역할 : 기업이 수행해야 할 역할 (경제 / 사회 / 정치)

 

6. 기업의 구성요소

- 경영활동은 3요소를 적절히 배합하여 바람직한 결과물을 산출하는 것

 

- 목표관리 : 조직이 추구하는 지향적인 방향 미래의 바람직한 결과를 관리하는 활동

- 자원관리 : 인적, 재무, 정보, 설비 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바람직한 결과물을 산출해내는 관리활동

- 과정관리 : 계획, 조직, 지휘 통제으 행동 패턴 과정을 관리하는 활동

 

7. 경영조직

- 2인 이상의 구성원이 모여 공동 목표를 추구하는 공동체

- 소규모 조직, 기업, 국가조직, 비영리단체, 종교단체

- 최고경영층 (계획), 중간경영층 (실무,관리) , 초급관리층 (실무 행동) : (조직화 매우 중요)

 

8. 경영의 행동 원칙 : 목표달성을 위한 행동 관리 : 지도원리 또는 행동원칙

 

※ 현재 경영에서의 선택 원리 : 적정이윤,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적정선

- Patagonia

- 인간과 환경 모두에게 이로움을 주는 기업 (지속 가능성)

-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영, 비즈니스를 활용)

반응형